본문 바로가기
728x90

웹툰3

(김수달 생존기) 7화 : 보고또보고 하나의 보고가 완료되기 까지 실로 많은 (현타)과정을 거친다. 사업을 홍보하는 보도자료를 언론에 배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보겠다. 먼저 김수달이 작성한 초안을 과장님께 보고한다. 찌푸려진 과장님 미간을 뒤로하고... 크게 두 유형으로 피드백을 주시는데, 맥락에 대한 수정 또는 구체적인 표현의 수정이 그것이다. 보통은 맥락수정 -> 표현 수정의 형태로 피드백이 이뤄진다고 보면된다. 먼저 맥락에 대한 수정이다. 대개 담당자 시선과 관리자 시선이 다르기 때문에 나오는 피드백이다. 담당자는 사업을 구체적으로 적시하는게 특징이다. 왜냐하면 해당 사업을 가장 잘 알고 있어 일부러 의식하지 않으면 시시콜콜한 내용까지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 형태는 단락이 추가된다거나 문장이 필요이상으로 길어지는 경우 등 다양하다... 2021. 8. 6.
(김수달 생존기) 5화 : 행사 일종의 직업병이랄까. 김수달은 콘서트, 작품전, 전시회, 회의, 모임 등을 갈때면 언제나 그 행사를 준비하는 담당자를 떠올린다. 얼핏 평범하고 별것 없어 보이는 행사도 준비과정을 들여다보면 행사 준비자의 노고가 곳곳에 서려있음을 알 수 있다. 현수막 크기, 디자인, 문구부터 좌석의 배치, 어떤 사람을 어느 자리에 앉힐 것인지에 대한 고민, 마이크와 같은 음향장비 확인, 안내책자 준비, 출입명부, 행사장으로 참석자를 안내하는 배너 등 참 많은 걸 준비해야 한다. "행사의 내용, 콘텐츠가 중요하지.. 으이그 역시 공무원들은 허례허식이 너무 많아" 맞다 허례허식이라 느껴질만큼 행사에 대한 준비가 철저하다. 심지어 중요한 인물이 참석하는 경우에는 차량에서 내리는 순간부터 입장과 퇴장 동선까지 확인하고 리허설 한.. 2021. 7. 30.
(김수달 생존기) 2화 보고서를 쓴다는 건 누군가로부터 지시를 받았단 소리다. 당연하게도 김수달은 보고를 지시하는 입장은 아니었다. 숱하게 보고서를 써왔단 소리다. 지금보단 생기있었을 수습 시절 김수달은 열정적인 녀석이었다. 당시 과장님께 드렸던 첫 보고를 잊지 못한다. 딴엔 "이 업무는 지금부터 내가 캐리한다"였지만, 돌아온 건 탈탈털린 멘탈이었다. 그때 그 과장님께서 기억에 남을 두가지 말씀을 주셨는데, 그 중 하나가 보고서에 들어갈 한단어 한단어 모두에 대해 작성자는 왜 그 단어를 썼는지 완벽하게 답할 수 있어야 된다고 하셨다. 두단계 세단계 추가 질문이 들어와도 막힘 없이 답할 수있도록 준비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양(quantity)만이 질(quality)을 담보할 수 있다는 학부시절 교수님 말씀처럼 100장의 내용.. 2021. 7.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