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보고서 작성8

보고서 작성의 기본 목적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보고서는 기본적으로 '추진배경- 현황 및 필요성- 주요내용-향후일정' 이라는 목차 형식으로 쓰여진다. 1. 추진배경 추진배경은 왜 이 보고서를 쓰게 되었는지를 작성하는 목차다. 초짜때는 대단한 걸 추진하는 것마냥 작성했는데 요즘은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중점을 둔다. 예컨대 '4차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일하는 방식 혁신이 필요' 라는 거창한 문구보다는 '자유로운 의견 개진이 가능하도록 업무 프로세스의 변경이 필요'라는 식으로 왜 이 보고서를 쓰게 되었는지의 이유를 명확하게 드려내려고 쓴다. 2. 현황 및 문제점 현황이랑 문제점은 같은 목차로 쓰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둘의 차이가 애매한 경우가 많다. 현황이 곧 문제점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2021. 5. 1.
입체적인 보고서 쓰기 보고서 작성법, 기획 강의를 꽤나 봤다. 지금도 기회 될 때마다 관련 팁들을 정리하려고 노력중이다. 강의는 좋았지만 이론과 실제는 다른법이다. 고민할 시간 없이 당장 제출해야 되는 보고서를 쓸때는 논리고 뭐고 없다. 허겁지겁 비슷한 사안을 다룬 자료를 참고해 짜깁기 할 뿐이다. 그런 실전에서도 써먹을 만한 부분이 있다. 가설사고와 MECE다. 오늘은 MECE에 대해서 설명하려 한다. MECE적인 방식으로 보고서의 틀을 짜면 동일한 내용을 다루더라도 글이나 보고서가 입체적으로 보인다. 사실 표현만 몰랐을 뿐 완전히 동일한 방식으로 논술시험을 치르거나 보고서를 써왔다. 논술과외를 할 적엔 '범주화' 또는 '덩어리 짓기'라는 이름을 붙여 학생들에게 설명했다. 논리가 뚜렷하게 드러나면 형식은 중요하지 않다. 하.. 2021. 4. 10.
한장 보고서 만들기 2 '한장 보고서'가 중요해진 이유는 바쁜 상사에게 핵심만 전달해야 했기 때문일 것이다. (혹은 불안한 보고 시간.. 손 허전하지 않도록 뭐라도 쥐어드려야 했기에?) 한장 정도의 분량 안에 짜임새 있는 보고를 완료해야 하는 상황들이 많기에 필연적이었을지도 모른다. 결국 보고서는 상사에게 구두 설명 시 활용할 유일하면서 가장 강력한 도구였을 것이다. 그때서야 비로소 한장 보고서의 목표를 완수했다 봐야 한다. 매끄럽게 보고가 이뤄지지 않으면 애써 작성한 보고서 신뢰도도 떨어진다. 그래서 보고서는 보고 상황까지 고려해 작성되어야 한다. 보고 상황을 염두에 두고 작성된 보고서는 가독성이 좋다. 마치 설명을 위한 대본으로 작성된 것처럼 말이다. 그렇다고 문어체가 남발되어 있다면 좋은 보고서라 할 수 없다. 보고서의 .. 2021. 3. 23.
기획과 계획의 차이 보고서나 공적 문서를 작성할 때 많이 혼동하는 것 중 하나가 '기획'과 '계획'이라는 표현이다. 혼동해서 쓰는 경우가 많아 정리해 본다. 영어로 기획은 Planning, 계획은 Plan으로 쓴다. 기획은 어떤 과정(~ing)이라는 늬앙스를 지니며 계획은 과정이 끝난 뒤 결과라는 늬앙스가 있다. 기획은 뭔가 새로운 것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보통 아이디어적(창의적) 접근을 담은 글에 기획서라는 이름을 붙인다. 반면 계획은 이미 정해진 일의 준비를 의미한다. 조금더 자세히 비교하면, 기획은 아직까지 없는 새로운 일을 이루기 위해 미리 얽개를 짜는 것을 의미한다. 계획은 이미 정해진 미래의 일을 실천하기 위해 얽개를 짜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획은 새로운 것을 창조하고 효율적으로 이루기 위한 목적을 지니.. 2021. 3. 21.
728x90